안녕하세요 잠재력입니다.
청년도약계좌가 드디어 윤곽을 제대로 드러냈습니다 아직 금리나 일정부분 미정인 부분이 있지만, 6월에 출시된다고 하니 대상이 되시는 분들은 집중해서 보시고 잘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매달 70만원 한도로 5년간 자유롭게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최대 월 2만4000원)과 비과세 혜택(15.4%)을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23년 6월 출시예정이고요. 만 19~34세 사이, 연 소득 7500만원 이하의 청년층은 시중은행을 통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 5년간 납입하면 최대 5000만원 내외의 목돈을 모을 수 있는 적금으로, 300만명 정도의 청년층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정부는 예상하고 있다고 하네요.
문재인 정부에서 출시한 '청년희망적금'과 윤석열 정부의 '청년도약계좌'는 무엇이 다른지, 가입대상은 누구인지 등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개요
1. 가입조건
- 만 19세~34세 청년(병역이행기간 최대6년 제외)
- 직전년도 소득 연6,000만원 이하이면서 중위소득 180%이하
단, 소득이 0원이면 가입 불가능
2. 월납입액
- 최대 70만원으로 연으로는 840만원이고, 5년 납입시 원금은 42백만원
3. 의무가입 : 5년
4. 정부매칭(정부지원금) : 최대 6%, 약 504,000원
5. 만기시수령금 : 약 5천만원
6. 출시예정일 : 2023년 6월
청년 자산형성, 목돈마련을 위한 청년도약계좌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궁금한 부분은 검색해서 찾아보세요:)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 나이, 소득기준, 가구소득
가입대상은 만 19~34세 중 개인소득 기준 6000만원 이하인 청년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을 충족하는 경우 가입할 수 있습니다.
* 중위소득 180% 이하 : 2인 가구라면 월 소득 586만8000원 이하
병역을 이행한 경우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만큼 나이 계산에 빼줍니다.
단,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이 제한되고,
소득이 아예 없어도 가입이 불가합니다.
소득별 정부 기여금
가입자는 개인소득 수준,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을 지원받을 수 있어요.
매칭비율은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많은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득구간별로 차등을 두고 있습니다.
개인소득이 4800만원 이하인 경우 납입한도 월 70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금액을 납입(월 40~60만원)하더라도,
정부기여금을 모두 수령할 수 있도록 기여금 지급한도를 별도로 설정하였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금리
가장 중요한 금리는 아직 미정입니다.
금리는 청년도약계좌 상품은 가입후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될 예정이라고 하네요.
청년희망적금 중복가능?
이것도 확실하게 나오지는 않았지만, 청년희막적금과는 중복 가입 안된다는 의견이 우세한 상태입니다.
'정보 > 돈되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홈택스 연말정산 미리보기 (0) | 2023.11.07 |
---|---|
2023년 2024년 부모급여 총정리 : 기준 신청방법 지급일 보육수당 영아수당 (0) | 2023.03.10 |
경기도민 알뜰교통카드 체크카드,신용카드 신청 사용방법 적립금 (0) | 2023.02.09 |
자동차세 연납제도 납부기한 소유권이전 환급금 납부승계 (0) | 2023.01.19 |
연말정산 부양가족 인적공제 총정리 : 연간소득금액 100만원? (0) | 2023.01.11 |